교육

2025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분석 – 난이도 및 출제 경향 총정리

yoyo-tooyou 2025. 3. 26. 19:14
반응형

 

2025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이하 3월 모의고사)가 시행되었습니다. 전국연합학력평가는 고등학교 1·2·3학년 학생들이 응시하는 시험으로, 수능과 유사한 형식으로 출제되어 실력을 점검하고 학습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이번 2025년 3월 모의고사는 2025학년도 수능 개편안이 적용된 첫 모의고사로, 새로운 출제 경향과 난이도에 대한 관심이 높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과목별 난이도 분석, 출제 경향, 그리고 향후 대비 전략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2025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개요

① 시험 일자: 2025년 3월 ○일
② 응시 대상: 전국 고등학교 1·2·3학년
③ 주관: 서울시교육청
④ 주요 특징:

  • 2025학년도 수능 체제 반영
  • 공통과목 + 선택과목 구조 유지
  • EBS 연계율 축소

서울시교육청이 주관하는 3월 모의고사는 고3 학생들에게는 수능 대비 첫 실전 시험, 고1·고2 학생들에게는 자신의 객관적인 위치를 확인하는 시험이라는 점에서 중요성이 큽니다.


2. 과목별 난이도 분석 및 출제 경향

① 국어 영역 – 변별력 있는 문학과 독서 문제

이번 국어 영역은 전반적으로 어렵게 출제되었습니다. 특히 독서 영역의 비문학 지문 난이도가 높았으며, 문학에서도 고전 문학과 현대 문학의 융합 지문이 등장해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독서(비문학): 철학 및 과학 관련 지문에서 고난도 문제 출제
  • 문학: EBS 연계율이 줄어들면서 예상치 못한 작품 등장
  • 언어와 매체(선택과목): 문법 문제 난이도 증가

전반적인 난이도: (2024년 3월 모의고사보다 어려움)

② 수학 영역 – 공통과목 난이도 상승, 선택과목 간 차이 존재

수학 영역에서는 공통과목(수학Ⅰ·수학Ⅱ)의 난이도가 상승하였으며, 특히 고난도 문항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는 평가가 많았습니다.

  • 수학Ⅰ·수학Ⅱ(공통과목): 지수·로그, 미적분 기초 개념이 중요
  • 확률과 통계: 기본 개념 중심으로 무난하게 출제
  • 미적분: 도전적인 문제 포함, 최고난도 문항 변별력 높음
  • 기하: 공간 도형 문제가 까다롭게 출제됨

전반적인 난이도: 중~상 (2024년 3월 모의고사와 비슷하거나 조금 어려움)

③ 영어 영역 – 독해 난이도 상승, 절대평가 영향

영어 영역은 절대평가 체제이지만, 고난도 독해 문제가 많아 체감 난이도가 높았습니다. 특히 빈칸 추론과 순서 배열 문제에서 변별력이 컸습니다.

  • 빈칸 추론 문제의 지문 길이 증가
  • 문장 삽입 및 순서 배열 문항 난이도 상승
  • 어법 및 어휘 문제는 평이

전반적인 난이도: 중~상 (1등급 비율이 작년보다 줄어들 가능성)

④ 탐구 영역 – 과목별 난이도 차이

  •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한국 지리 난이도 상승
  • 과학탐구: 물리Ⅱ와 화학Ⅱ에서 고난도 문제 출제

전반적인 난이도: 과목별 차이 존재


3. 2025년 3월 모의고사의 특징

① 수능 체제 변화 반영 – EBS 연계율 축소

올해 3월 모의고사는 2025학년도 수능 개편안을 반영하여 EBS 연계율이 크게 줄어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학생들이 개념을 탄탄히 다지고 응용력을 키워야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② 국어·수학의 변별력 강화

국어와 수학에서 최고난도 문항이 등장하면서 상위권과 중위권의 점수 차이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③ 융합형 문제 증가

특히 국어와 과학 탐구 영역에서 두 가지 이상의 개념을 결합한 문제가 등장하며, 단순 암기보다는 개념 이해와 적용 능력이 중요해졌습니다.


4. 향후 대비 전략

① 국어 – 비문학 독해력 향상 필수

  • 매일 한 지문씩 비문학 독해 연습
  • 다양한 제재(철학, 과학, 경제) 학습
  • 기출 문제 분석하여 유형 익히기

② 수학 – 개념 학습 + 고난도 문제 풀이 병행

  • 공통과목(수학Ⅰ·Ⅱ) 개념 완벽 이해
  • 선택과목(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유형별 문제풀이
  • 시간 관리 연습 필수

③ 영어 – 꾸준한 독해 연습

  • 매일 영어 지문 읽기 습관 형성
  • 고난도 빈칸 추론, 문장 삽입 유형 집중 연습
  • 어휘 학습 강화

④ 탐구 – 개념+실전 대비 병행

  • 기본 개념 학습 후 문제 풀이 병행
  • 최신 기출 및 예상 문제 활용
  • 과목별 오답 노트 작성

5. 결론 – 2025 수능 대비 첫걸음, 3월 모의고사를 통해 학습 방향 설정

2025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는 변별력이 있는 문제 구성과 수능 개편안 반영으로 학생들에게 실력을 점검할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이번 모의고사를 통해 자신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남은 기간 동안 효율적인 학습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으로 남은 6월 모의평가와 9월 모의평가에서 보다 높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 기출 문제를 철저히 분석하고 개념 학습과 실전 연습을 병행하는 학습법을 실천해야 합니다.

 
 
 
반응형